본문 바로가기
Kotlin(프로그래머스)/Level 2

[프로그래머스/Kotlin] 메뉴 리뉴얼

by Yuno. 2022. 4. 11.
728x90

문제 링크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1

 

코딩테스트 연습 - 메뉴 리뉴얼

레스토랑을 운영하던 스카피는 코로나19로 인한 불경기를 극복하고자 메뉴를 새로 구성하려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단품으로만 제공하던 메뉴를 조합해서 코스요리 형태로 재구성해서

programmers.co.kr

레스토랑을 운영하던 스카피는 코로나19로 인한 불경기를 극복하고자 메뉴를 새로 구성하려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단품으로만 제공하던 메뉴를 조합해서 코스요리 형태로 재구성해서 새로운 메뉴를 제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어떤 단품메뉴들을 조합해서 코스요리 메뉴로 구성하면 좋을 지 고민하던 "스카피"는 이전에 각 손님들이 주문할 때 가장 많이 함께 주문한 단품메뉴들을 코스요리 메뉴로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단, 코스요리 메뉴는 최소 2가지 이상의 단품메뉴로 구성하려고 합니다. 또한, 최소 2명 이상의 손님으로부터 주문된 단품메뉴 조합에 대해서만 코스요리 메뉴 후보에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예를 들어, 손님 6명이 주문한 단품메뉴들의 조합이 다음과 같다면,
(각 손님은 단품메뉴를 2개 이상 주문해야 하며, 각 단품메뉴는 A ~ Z의 알파벳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손님 번호 주문한 단품메뉴 조합
1번 손님 A, B, C, F, G
2번 손님 A, C
3번 손님 C, D, E
4번 손님 A, C, D, E
5번 손님 B, C, F, G
6번 손님 A, C, D, E, H

가장 많이 함께 주문된 단품메뉴 조합에 따라 "스카피"가 만들게 될 코스요리 메뉴 구성 후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코스 종류 메뉴  구성설명
요리 2개 코스 A, C 1번, 2번, 4번, 6번 손님으로부터 총 4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3개 코스 C, D, E 3번, 4번, 6번 손님으로부터 총 3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4개 코스 B, C, F, G 1번, 5번 손님으로부터 총 2번 주문됐습니다.
요리 4개 코스 A, C, D, E 4번, 6번 손님으로부터 총 2번 주문됐습니다.

[문제]

각 손님들이 주문한 단품메뉴들이 문자열 형식으로 담긴 배열 orders, "스카피"가 추가하고 싶어하는 코스요리를 구성하는 단품메뉴들의 갯수가 담긴 배열 cours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스카피"가 새로 추가하게 될 코스요리의 메뉴 구성을 문자열 형태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orders 배열의 크기는 2 이상 20 이하입니다.
  • orders 배열의 각 원소는 크기가 2 이상 1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각 문자열은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각 문자열에는 같은 알파벳이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course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 이하입니다.
    • course 배열의 각 원소는 2 이상 10 이하인 자연수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 course 배열에는 같은 값이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정답은 각 코스요리 메뉴의 구성을 문자열 형식으로 배열에 담아 사전 순으로 오름차순 정렬해서 return 해주세요.
    • 배열의 각 원소에 저장된 문자열 또한 알파벳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합니다.
    • 만약 가장 많이 함께 주문된 메뉴 구성이 여러 개라면, 모두 배열에 담아 return 하면 됩니다.
    • orders와 course 매개변수는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이 되도록 주어집니다.

------------------------------------------------------------풀이------------------------------------------------------------------
( 조합과 완전탑색을 이용합니다. )
1. orders을 탐색하면서 course의 갯수만큼 조합합 함수 collect를 만듭니다.
 - count ==size가 되면 visit의 value중 true인것들로 String을 조합한다. 
  * 새로 만들어진 string을 정렬하고 정규식을 사용해서 불필요한 문자를 제거
  * Hash에 해당 코스가 있다면 value+1해서 저장 없다면 1을 저장 
 - count != size라면 다음 메뉴를 탐색한다. 

 * orders : 손님들의 주문 목록
 * visit : 탐색한 부분을 표시해줄 Array
 * start : 시작지점
 * count : 현재까지 조합한 메뉴의 갯수
 * menuHash : 조합한 코스가 나온 횟수를 저장할 Hash<코스 : String, 나온 횟수 : Int>
 * size : 조합할 메뉴의 갯수
2. course의 value를 size로 해서 orders의 메뉴들을 한번씩 전부 탐색한다. 
3. 탐색하고 나와 HashMap에 저장되어있는 value중 가장 큰값을 찾아 answer에 add한다. 
4. 2번으로 돌아가 coures의 다음 value값을 탐색한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orders: Array<String>, course: IntArray): Array<String> {
            var answer = ArrayList<String>()
            var menuHash = HashMap<String, Int>()
            
            for( i in course){
                for( j in orders ){
                    if( j.length >= i){
                        var visit = Array<Boolean>(j.length, {false})
                        collect( j, visit, 0, 0, menuHash, i)
                    }
                }
                
                var max = menuHash.maxByOrNull { it.value }
                if( max!!.value < 2 ) continue
                else{
                    for( (k, v) in menuHash){
                        if( v==max?.value ){
                            answer.add(k)
                        }
                    }
                }
                menuHash.clear()
            }

            return answer.sorted().toTypedArray()
        }
        
        
        fun collect( order: String, visit : Array<Boolean>, start : Int, count : Int, menuHash : HashMap<String, Int>, size : Int){
            var reg = Regex("[^A-Z]")
            if( count == size){
                var s : String = ""
                for( i in 0..visit.size-1){
                    if(visit[i]){
                        s += order[i].toString()
                    }
                }
                s = reg.replace(s.toSortedSet().toString(), "")
                menuHash.put(s, menuHash.getOrDefault(s, 0)+1)
            }
            else{
                for( i in start..visit.size-1){
                    visit[i] = true
                    collect(order, visit, i+1, count+1, menuHash, size)
                    visit[i] = false
                }
            }
        }
    }

------------------------------------------------------------결과------------------------------------------------------------------

- 문제에 대한 질문 댓글 환영!
- 중간에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728x90

댓글